| 소방대장, 항공관제사, 원자로 관리사, 시설물 보안책임자, 엘리베이터 정비, 기사. |
| 이 직업들의 통점은 미국에서 대학졸업장이 없어도 억대 연봉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12일 CNN머니는 페이스케일닷컴(PayScale.com)의 분석을 인용, 굳이 대학을 가지 않고도 연소득이 10만달러가 넘는 직업군들을 소개했다. |
| ◇ 소방대장 = 연봉 평균이 7만2천900(한화 8천500)에 최고 연봉은 121달러(14) 수준이다. |
| 장기간에 걸 관으로 활동해야 오를 수 있는 자리이며 이 때문에 대장로 승진하는데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대학을 졸업한 비교적 젊은 소방관이 장으로 승진하는 경우도 없지는 않다. |
| 그러나 소방대장 필요한 덕목 학위가 아니라 리더십과 관리능력이다. 높은 연봉보다는 귀중한 생명 구해을 뿌듯한 자부심이 더 큰 보상이다. |
| ◇ 항공관제사 = 평균 연봉은 8만3천700달러(9천800만원), 최연봉 15만9천달러(1억8500만원). |
| 미국에서 항공관제사가 되려면 대학학위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오클라호마에 있는 연방항공청의 교육시설에서 혹독한 직업훈 한다. |
| 베이비 세대들이 퇴직함 국내에 련된 항공관제사가 부족해지고 있다. 항공관제사는 한순간의 실수가 수백명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대형 참사로 이어지 때문에 매 순간 고도의 장이 요구되는 직업이다. |
| 마이애미 국제공항의 관제사인 짐 마린티는 "우리가 하는 일을 비디오 게임과 같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이 직업은 그러나 매일 반드시 이겨야 하는 비디오 게임이다"라고 말한다. |
| ◇ 원자로 관리사 = 평균 연봉 8만6천200달러(1억원), 최고 연봉 12만8천달러(1억4천900만원). |
| 원전 설비운영 기사로 출발해 수년간의 직무훈련을 거쳐 원자력감독위원회의 인증을 받으면 원자로 관리사가 될 수 있다. 원전의 오작동 방지를 위해 가동상황을 모니터하는 것이 주임무다. 12시간 교대로 근무기 때에 체적으 고 스트레스가 적지 않다. |
| ◇ 시설물 보안책임자 = 평균 연봉 6만8천700달러(8천만원), 최고 연봉12만2천700달러(1억4천300만원). |
| 인터컨티넨털호텔 그룹의 보안책임자인 브래드 보넬은 말썽을 일으키는 고객을 내쫓거나 폭력적인 방문자와 맞서는 일, 화재나 폭발물 위협에 대응해 투숙객을 대피시키는 일이 주임무다. |
| 전직 경찰관이나 군인이라는 경력이 대학졸업장보다 훨씬 더 유용한 직업이다. 승진 경쟁이 치열하며 매일 위험에 노출돼 있는 근무환경이다. |
| ◇ 엘리베이터 정비사 = 평균 연봉 7만2천900달러(8천500만원), 최고 연봉 10만9천달러(1억2천700만원). |
| 엘리베이터 지역노조에서 4년간의 직업훈련을 거치면 정비사가 될 수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지역노조에 가입하는 것이 극히 어려운 경우도 있다. |
| 고층에서 위험한 기기와 전기에 노출된 작업환경에서 일해야 한다. 고장신고가 들어오면 밤이건 새벽이건 언제라도 달려가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
| ◇ 법정 속기사 = 평균연봉 5만7천200달러(6천700만원), 최고 연봉 10만5천달러(1억2천200만원). |
| 속기 전문학원이나 전미속기사협회 등에서 훈련을 받아 법정 속기사가 될 수 있다. 분당 250단어를 타이핑할 수 있는 기술이 필수다. 일부 주(州)에서는 자격증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지만 학사 학위는 필요없다. |
| kr.news.yaho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