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 - 춘희 (椿姬) 의 뜻은?

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란 오페라가 있다. 프랑스 작가 뒤마 (Dumas)의 소설 La dame aux camlias를 소재로 하여 이탈리아 작곡가 베르디 (Verdi)가 작곡한 오페라다. 병든 창녀인 비올레타와 알프레도의 비극적 사랑을 그리고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우리에게 춘희(椿姬)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춘희(椿姬)는 춘(椿)은 동백 춘 자이고 희(姬)가 아가씨 희 자이니 풀어 보면 동백 아가씨 또는 동백꽃 여인이란 뜻이다. 이 오페라가 처음 우리나라에 소개됐을 때 동백 아가씨 또는 동백꽃 여인이란 제목이 즐겨 사용된 것도 다 이 때문이다.
오페라에서 여주인공 비올레타가 가슴에 항상 동백꽃을 달고 나오기도 하거니와 이 오페라의 원작인 La dame aux camlias도 그런 뜻을 갖는 데 따른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이 오페라의 제목으로 동백 아가씨 또는 동백꽃 여인이라 하는 것은 별문제가 안 된다.
그런데 동백 아가씨, 동백꽃 여인 등과 달리 춘희 (椿姬)라 하는 데에는 다소 문제가 있어 보인다. 무엇보다 춘희가 이 말을 처음 접하는 사람 대부분의 고개를 갸웃하게 만드는 낯선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그리 하여 어떤 이는 사람 이름이겠거니 하고 막연히 생각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춘희의 춘(椿)을 나무목(木)이 없는 춘(春), 즉 봄 춘 자로 잘못 봐서 봄 여자로 알기도 한다.
특히, 후자는 우리말에서 춘정(春情)이나 매춘(賣春)처럼 봄 춘(春) 자가 다소 그런 의미를 갖기도 하거니와 여주인공인 비올레타의 직업이 창녀라서 상당히 그럴듯해 보이기까지 하다.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은 우리에게 낯선 한자로 그리고 다소 생소한 방식으로 조어된 일본식 한자어인 춘희(椿姬)에서 비롯됐던 것이다. 춘(椿) 자체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한자가 아니기도 하거니와 춘희란 말은 사실 일본에서 라 트라비아타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만들어 쓴 일본식 한자어다. 그런데 일본어에서와 달리 적어도 현대 우리말에서는 희(姬)가 일부 한자(어) 뒤에 쓰여 아가씨, 여성의 뜻을 더하는 말로 쓰이는 것이 자연스럽지 않다.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를 굳이 번역해 쓰고자 한다면 일본식 한자어를 쓴 춘희(椿姬)보다는 동백 아가씨 또는 동백꽃 여인이라 하는 편이 좀 낫다. 그러나 이 또한 춘희를 직역한 느낌이 들어서 왠지 꺼림칙하다. 차라리 이탈리아 어 제목의 원뜻을 고려하여 방황하는 여인, 길 잃은 여인, 타락한 여인 정도로 하는 게 훨씬 나아 보인다. 물론 여인은 아가씨로 대신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