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시 종류 | 
| 사시미 종류 | 
| 스시 먹는 방법 | 
| 사시미 먹는법 | 
|   | 
|   | 
| 생선 알고 사먹읍시다. 이제 좋은 생선만 먹읍시다 | 
| 우리나라와 일본은 가깝고 생선회를 먹기 시작한 역사도 조선중기 정도로 비슷하지만 생선회 식화는 많은 차이가 있다. | 
| 우리국민의 생선회 문화는 살아서 펄떡떡 튀야 생선라는 개념과 선회 맛은 먹을때 이빨로 느는 육질의 단함 즉 씹힘 요하는 활어회 문 또 씹힘의 로 표현 수 . | 
| 면 일본 서 일간이 먹으면 맛이 더 좋아다는 개념과 혀로 느끼는 맛에 중점을 두고 먹는 선어회 문화 및 미각의 문화로 구분된다. | 
| 우리나라는 활어 수송차 이용, 살 류를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 수송할 뿐 아니라 횟집에서도 수조시설이 필요하다. 일서는 죽여 상태로 수송할 뿐 아니라 수조도 요 없다. 따라서 선어수송은 경비 절감효과 뿐 아니라 수송중 생선회 맛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 
| 먹 방법 양 본 사람들 생선회를 한점씩 고추냉 스에 찍 고유한 향과 서 먹는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은 생선회를 상치 쑥갓 등 야 싸고 된장과 초 고추등을 들여 먹는다. | 
| 결 생만의 보다 을 한꺼번에 느끼면 먹 짬뽕식 시식법이다. 그리고 일본은 생선회 양념장이 로 고추이 소스는 물론이고 주로 된장 초장 나아가 이것들을 혼합해 먹는 경우도 많. | 
| 그러나 이같은 시식방법은 된장과 초장의 강한 향과 생선회의 고유한 향과 맛을 느끼지 못하도록 상쇄해 버린다. | 
| 리라는 생선회와 밥 소비 비이 약 7:3으로 생선 중심인데 일본 초밥과 생선회 소비 비율이 약 7:3으로 초밥위주다. 이는 우리나라 생선회 문화는 씹힘성의 문화이고, 일본은 미각 �� 것 깊은 관계가 다. | 
| 참고로 일본은 초밥조합이 전국 41개도도부현과 그 산하 6백개 이상의 시지부로 구성된 거대한 단체로 구성돼 있다. 초밥 단일 품목으로 연간 약 15조원의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 
| 회 종류에 따른 양념장 | 
| 생선회 양념장에는 고추냉이를 간장에 고추냉이 소스, 초장, 된장 등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횟집에서는 기호에 따라 선택하도록 이들 양념류를 모두 내놓고 있다. | 
| 생선회는 종류에 따라 고유의 맛과 향이 있으므로 이를 최상으로 즐기기 위해서는 흰살 생선으로 된 생선회는 고추냉이소스에 찍어 먹는 것이 좋다. 특히 고추냉이에 있는 톡 쏘는 맛의 시니그린은 비린내를 제거함과 동시에 항균력이 있다. | 
| 지방질이 많은 생선도 선도저하가 빠르며 좋지 못한 냄새를 내므로 이런 냄새를 된장에 들어 있는 단밸질 콜로이드가 흡착해 냄새를 느끼지 못록 하거나 된장의 발효 생산물인 카르보닐화합물이 냄새성분을 비휘발형으로 만들어 버린다. | 
| 따라서 지방질 함량이 놓은 전어, 고등어 등은 된장에 찍어 먹는 것이 낫다. 그리고 굴, 우렁쉥이, 오징어 등과 은 패류 및 연체류는 초장에 찍어 먹는 것이 고유한 맛을 느낄 수 있다. | 
| - 국수경제 제 675호 - | 
| ▶ 농어 
 | 
| ▶ 숭 어 
 | 
| ▶ 광 어 
 | 
|   |   |   | 
|   |   |   | 
|   |   |   | 
|   |   |   | 
|   | 
| 
 | 
| 참 치 (Tuna: King of Sashimi) | 
| 참치의 유래 | 
| 고등어과에 속하는 참치는 회유성 어족으로 북극해와 남극를 제외한 계 바에 서식하고 있다. | 
| 뚜렷한 명분은 없으나 눈이 검기때문에(눈이검다=구로) 또는 껍���이 검기 때문 방해 두면 검게 변색되기 때문에 마 [구] 유래 되었다고 한다. | 
| 그래서 가장 값비싼 참다랑(혼마구로)를 [구로 마구로]라고 일 . 더불어 한국어로 참치란 생선다운 생선(진짜고기) 또한 고급생선이란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참치]라고 통용되고 있다. | 
| [예] 멸치,꽁치,삼치등 [치]는 고기어(어) 를 뜻함. | 
| 다랑어(참치)라는 것은 종류가 다른 새치류도 새치다랑어 (가지끼마구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이것은 회를 하면 다랑어나 새치나 빨간색(청새치,돛새치등)을 띠며 맛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이나 한국에서 참치회라고 하면 잘 팔리기 때문에 [다랑어]라고 호칭한다고 한다. | 
| 참치형태별 용어 | 
| 원어 | 
| 라운드(ROUND) - 어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 | 
| 지지(GILLED & GUTTED) - 아가미, 내장, 지느러미, 꼬리를 제거한 상태 | 
| 드레스(HEADLESS) - 지지에서 머 제거한 상태 | 
| 필렛(FILLET) - 드레에서 2등분여 뼈를 거한 상 | 
| 로인(LOIN) - 필렛에서 2등분한 상태 | 
| 가공품 | 
| 블록(BLOCK) - 인에서 로 세로 3~4등분한 태 | 
| 스테이크(STEAK) - 블록에서 횟감, 초밥으로 사하기에 리하도록 한 길이의 기준으로 절단한 상태 | 
| 슬라이스(SLICE) - 스테이크에서 횟감 튀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얇�� 절단한 상태 | 
| 깍두기(CUBIC) - 덮밥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절단한 상태 | 
| 참치의 종류와 생태, 참치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한 국 명 | 영 명 | 일 명 | 체 중 | 수 온 | 유 수 중 | 용도 | 
| 참다랑어 | BLUE FIN | 혼 마구로 | 30~600 | 14~21℃ | 50~300M | 횟감용 | 
| 눈다랑어 | BIG EYE | 메찌 | 10~150 | 17~23℃ | 50~400M | 횟용 | 
| 황다랑어 | YELLOW FIN | 기하다 | 5~100 | 20~28℃ | 0~200M | 횟감용 | 
| 날개랑어 | ALBACORE | 돔보 | 2~50 | 14~22℃ | 20~300M | 통조림용 | 
| 가다랑어 | SKIP JACK | 가쓰오 | 2~80 | 20~24℃ | 20~300M | 통조림용 | 
1) 다랑어 (BLUE FIN TUNA : 혼마구로)
형태 - 눈이작아 두장의 1/6~1/8에 있다. - 등쪽은 진한 청흑색 배쪽은 황색을 띈 은색이 가게 담색 횡대 있다. - 참치류 중 가장 대형이며 체장은 1M 내외 체중은 500KG 전후 (보통 2.5 내외 25OKG) 분포 - 대서양, 지중해, 본 근해 - (주)백경수산은 중에서 획 가공함 산란과 회유 - 대서양 회유군의 산란지는 중해와 멕시코만으로 분류되며 태평양 회유군은 일본 오끼나와 ..근해에서 년 마리당 100~1000만립 산란한다. - 표층 유영시는 10~13KM 이며 순간 최대속도는 약 100KM, 수명은 25년 정도이고 습성은 ..표층 외양성이나 계절적으로 연안에 나타나며 40~80KG 정도 일때와 대형어들은 산란 회유시 ..군집을 하고 그외���는 개체로 서함 - 회���� 6~9���에는 북쪽으로 겨울에는 남쪽으로 회유하는 한류성 어군으로 북반구에서 많이 서식함 어기 - 매년 4월7월 중순까지 - 4월6월에 어획되는 것이 년중 ��장 양호함 (산란전 상태) ��식 - 수온 14℃~24 ��� - 수심 50~300M
2) 방 다어 (SOUTHERN BLUE FIN TUNA : 인 마로 : 나 마구로)
형태 - 참다랑어에 �����하여 어체 작다 - 지 고급참치로��� ������� 초��리 많이 사용함. - 붉은살 부분이 참다������ ���다 ����������������������색������. - 참다랑어보다 고가품 - 소량 어획됨. - 어가(고가) 및 어량(소량)으로 국���유통에 ���려움이 많음. 분포 - 오스트��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의 케이프타운 ���해의 ��수 ��������에서 어���됨
3) 눈다랑어 (BIG EYE TUNA : 메바치)
형태 - 몸은 크고 통통하며 체장은 체고의 3¼로 머리와 눈이크고 맑으��� 눈매가 뚜렷함. - 참치류 중에 중형에 속하고 큰 것은 체장 2M, 체중은 150KG에 달하는 것도 있다. - 어획량이 가장 많다. - 근육색소가 황다랑어 보����� 짙��므로 황다랑���보다 변질되기 쉽다 분포 -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위도 약 35°에 걸��� 분포, 어�����. - 전 양의 열대와 아열대 수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 ※ 칠레어장 - 색이좋고 기름기가 많아 고가품이다. ※ 인도양, 태평양 - 색이 연하고 서경으로 갈수록 색이 짙고 동경으로 갈수록 색이 연하다. 산란과 회유 - 성숙 상태에 달할시 최소 체장은 1M 전후로 만 3년이면 성숙어가 된다. - 마리당 포란수는 50KG (어체) 짜리가 약 300만립, 100KG 전후에는 약400~600만립. - 동부태평양에서는 연중 이루어 지며, 북반구는 49월, 남반구는 1~3월이 전성기 이다. - 년간 20CM정도 성숙되며 6세가 되면 160CM 전후가 된다. 서식 - 17℃ ~23℃가최적 수온이며 13℃~29℃까지 분포 - 수심은 50~400M 까 분포
4) 랑어 (YELLOW FIN TUNA : 기하)
형태 - 어 끈하 육질 연 적 , 맛 담백하며 껍질의 일부가 황색이므로 ..황다랑어라 한다. - 머리와 눈은 상대적으로 작고 꼬리부분이 길다. 분포 - 전 세계적으로 적도 아열대 지역에 분포. - 눈 다랑어와 같은 어장에서 어획. - 고 수온을 좋아하고 주어장도 남북위도 25°의 표층. - 마리당 포란수는 100~500만립. - 성장은 생후 1년 : 체장 51CM 2년 : 체장 100CM 3년 : 체장 133CM 4년 : 체장 146CM 산란과 회유 - 연중이루어지며 북반구와 남반구를 여름철이 산란 성 어기이다. - 1회 산란시 100만~500만립 산란. 서 - 수온 20℃~28 ℃ - 수심 0 ~200M ※ 눈다랑어보다 육질이 단단하므로 사용이 용이 의 변질이 눈다랑어보다 더디게 나타난다.
5) 날개다랑어 (ALBACORE : 돔보)
형 - 가슴 지느러 현저하게 길며, 측선상에 희미한 진주색을 가진 청색띠가 있. - 최대 크기는 130CM, 성숙어 크기는 90~97CM - 중량 250KG 분포 - 북위 45° ~ 50°에서 남위 30° ~ 40° 전대의 열 및 온대 수에 분 - 전 세계 바다에 널리 분포하며 회유을 가진 소형 참치임. 산란과 회유 - 20KG 정도의 암컷이 매 계절마다 200만~300만립의 알을 가지고 있으며 년 2회 산란함 서식 - 수온 14℃~25℃ - 수심 20~300M
6) 가다랑어 (SKIP JACK : 가쓰오)
- 복부에 녹청색의 줄이 있음. - 복부에 가로로 46개의 뚜렷한 검은띠를 가지고 있다. - 평균 80CM 크기에 210KG의 체. 분포 - 세계 어장에 광범위하게 분포. - 특히 서부 태평양 어장이 제일 큰 어장임. 산란과 회유 - 적도 수역에서 연중이루어 지고있음 - 아열대 수역에서는 봄부터 가을초 까지 산란 - 41~87CM 크기의 암컷은 80만~200만립 산란. 서식 - 수온 14℃~30℃ - 낮에는 수심 260M 까지 밤에는 표층부근에 분포. ※ 횟감, 다지기, 양념가루, 통조림등 다양한 용 사용.
| [2] 새치 | 
| 한 명 | 명 | 명 | 체 중 | 온 | 유 수 중 | 용 도 | 
| 청새치 | STRIPED MARIN | 마까 | 50~100 | 18~24℃ | 0~80M | 횟감용 | 
| 새치 | SWORD FISH | 까 | 20~300 | 19~22℃ | 3-~80M | 횟감용 | 
| 흑새치 | BLUE MARIN | 구��� | 30~500 | 26~29℃ | 20~100M | 횟감,���이 | 
| ���������새치 | BLACK MARIN | 시로 | 30~450 | 16~28℃ | 20~90M | 횟감,구이 | 
| 돛새치 | SAIL FISH | 바쇼 | 10~50 | 25~29℃ | 0~50M | 횟감,구이 |